메네 메네 테겔 우바르신. 오늘은 벨사살왕이 귀인 일천명을 불러다 연회를 열고 여호와 하나님 성전에서 제사드릴 때 사용하던 금,은 잔을 가져다 술을 마시며 방탕하게 놀 때 손가락이 나타나 회벽에 글자를 쓰게 된 사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이 사건이 주는 영적인 의미와 교훈을 부분적으로 해설해드리겠지만, 그 보다는 성령께서 여러분 심령에. 즉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간단히 말해서 '세어 보고 세어 보고 달아 본 후에 나누어 버렸다'는 뜻입니다. 벨사살 왕이 그 하나님의 계량에서 수준 미달 되었을 때 그의 인생도 바로 거기서 끝나고 말았던 것입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역사적 배경과 성경의 진실 (다니엘5:1-32)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란 글자를 우리는 잘 압니다. 벨사살의 연회장 벽에 나타난 손가락들이 쓴 글입니다. 이걸 본 사람들에게 이 손가락과 글자는 공포요 신비요 충격입니다. 벨사살과 귀족들의 연회장은 공포로 물들었고 왕은 열굴 빛이 변하고 그 생각이 번민하여 넓적다리 마디가.
단 5:25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하나님께서 쓰신 글씨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글자입니다. '메네'라는 단어는 (메네 4484) 세다, 조사하다, 지정하다, 라는 뜻입니다. 메네는 무게를 다는 단위를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쓰신 글씨의 메네는 무게를 달듯이 이미 하나님께서 벨사살 왕의 모든 인생을 조사하고 잘못을 세어.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예수님도 한번 아람어를 쓰셨는데,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이것도 아람어입니다. 아람어의 메네는 계산하다, 셈을 하다 그런 뜻입니다. 메네가 두 번 나왔으니까 계산하고 또 계산해보니 그런 뜻입니다
벽에 손가락이 나타나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글자를 쓴 놀라운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때 벨사살은 36세의 젊은 나이로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거절하고 바벨론을 극치의 반역으로 몰고 갔습니다. 벨사살이 일천 명의 귀인과 술잔치를 벌이며 환락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그날 밤에 바로 멸망이 닥칠 것을 알지 못하고.... 이사야서에는 바벨론의 멸망이.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그 글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데겔은 왕을 저울에 달아 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함이요 베레스는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대와 바사 사람에게 준 바 되었다 함이니이다 (단 5:25-28) 하나님께서 바벨론 왕 벨.
그 때에 손가락이 나타나 벽에 글자가 쓰여졌는데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글이었다. 다니엘이 해석한즉. '너는 하나님의 저울에 달려서 모자란 놈이며 네 시한은 다 끝났다. 네 나라는 메대와 바사에게 준다' (단 5:28)는 뜻이었다. 그날 밤 벨. 기록된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다니엘이 해석하길.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데겔은 왕을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베레스는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대와 바사사람에게 준바 되었다. <!-by_daum-> 제57강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5:25-28) 기록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그 뜻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
다니엘 5장 13-31절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0) 08:31:43: 다니엘 5장 1-12절 (손가락들이 나타나서 석회벽에 글자를 쓰는 사건) (0) 2021.08.29: 다니엘 4장 34-37절 (그 기한이 차매) (0) 2021.08.28: 다니엘 4장 19-33절 (느부갓네살 왕의 꿈) (0) 2021.08.2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그리고 그 뜻을 자세하게 해석하여 주었습니다. 메네는 왕의 나라를 세어보고 그것을 끝나게 하겠다는 것으로 두 번 하신 것은 반듯이 이루겠다는 강조의 뜻이며 데겔은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하여 치워 버린다는 뜻이고 우바르신은. 다니엘 5.24~6.2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5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26 그 글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27 데겔은 왕을 저울에 달아 보니 부족함이. 이 심판의 메시지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입니다. 벨사살에 주신 말씀이 이 세상의 우리에게 주신 말씀이라면 우리도 이 말씀 앞에 마음을 모아야 합니다. 아람어 자음으로 된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는 ('메네 메네') 확실히 계수하시고 ('데겔. 기록된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다니엘이 해석하길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데겔은 왕을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베레스는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대와 바사사람에게 준바 되었다
기록된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입니다 (단 5:25) 기록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단 5:26) 그 뜻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단 5:27) 데겔은 왕이 저울에 달려서 부족함이 뵈었다 함이 메네 데겔 우바르신: 다니엘 5장 22 ~ 31절 : 박황우 : 2019-12-08 : 89: 120: 사도의 수고와 영광: 고린도후서 6장 4 ~ 10절 : 박황우 : 2019-12-15 : 109: 119: 그리스도의 신분: 이사야 9장 1 ~ 7절 : 박황우 : 2019-12-22 : 85: 118: 예수님의 탄생 예언: 마태복음 1장 18 ~ 25절 : 박황우 : 2019.
기록된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었는데 벨사살 왕은 너무도 놀라 두려워 떨면서 이를 해석할 만한 술객, 점쟁이 박사 등 내로라하는 지혜자들을 다 불러 물었으나, 놀랍게도 그들은 당시 국제 통용어인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던 그 글자를 해석하기는커녕 능히 읽지도 못하였다(단 5:7-8) 묵상하기. 메네 메네 데겔 달리다쿰 공의로운 평가에 부족함이 드러난 결과 다니엘 5:24-6:2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단5:25)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1.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단5:25)은 예수님이 사용하셨던 언어와 같은 아람어인데..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 ? 여호아 하나님께서는 세어보시고, 세어보시고, 즉, 오래 참으사 다시 세어 보시고, 마침내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함이 드러나 결국은 멸망시키신다는 패역한 우리를 향한 경고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항상 보고 계시며, 이미 아신바.
2. 이 하나님의 신탁의 말씀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었습니다. 여기서 '메네'란 하나님께서 바벨론 나라의 세대를 하나님의 통치의 기준에 따라 재어서 이제 끝나게 하셨음을 의미하는 단어였습니다 <단5;25~31>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mn,mn,tql (u)prsn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광,恩光 작성일 10-03-20 08:22 조회1,587회 댓글0건 관련링 혹시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이란 비극적 대답을 들을 사람은 없을까? 하나님은 매일 매순간 우리를 저울에 달아 보신다. 몸무게를 다는 것이 아니고, 인물을 보시는 것도, 재산 목록을 달아 보시는 것도 아니다 단5장25절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 수요예배 설교 영상. HOME | 말씀/찬양 | 수요예배 설교 영상.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작성자 문산교회 작성일 21-07-25 12:58 조회 31 회 댓글 0 건
메네(Mene)란 '수를 세었다'란 뜻이고, 데겔(Tekel)이란 '무게를 달다'란 뜻이며, 우바르신의 우(U)는 접두사로서 '그리고'이고, 바르신(pharsin)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David SJ Baek, September 20, 2020 September 26, 2020,.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주일오전. 설교자 : 권재완 담임목사. 성경구절 : 다니엘 5장 1~4절, 17~31절 (구1240) 설교일 : 2019-03-17. 믿음으로 사는 이유 (1) 수요기도회. 설교자 : 조영환 목사. 성경구절 : 갈라디아서 3장 1~5절 22. 벨사살이여 왕은 그의 아들이 되어서 이것을 다 알고도 아직도 마음을 낮추지 아니하고 23. 도리어 자신을 하늘의 주재보다 높이며 그의 성전 그릇을 왕 앞으로 가져다가 왕과 귀족들과 왕후들과 후궁들이 다 그것으로 술 글자크기조절 확대 축소 글자색상조절 흰색 검은색 회색 붉은색 파란색 보라색 배경색상조절 흰색 검은색 회색 붉은색.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다니엘 5:22~31) 2016-07-10 원초적 감사(데살로니가후서 2:13~17) 2016-07-03 위대한 믿음의 선진(히브리서 11:23~29) 2016-06-2 동부교회. HOME > 말씀과찬양 > 주일1,2부예배. 슬기로운 신앙생활 (10)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본문 : 다니엘 5:24~31. 설교자 : 양혁승 담임목사. 날짜 : 2021.08.29. 영상보기. 총 17개, 1/3 Page. 제목 본문 설교자 내용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 26. 그 글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 27.. 그야말로 세대를 뛰어넘는 영향력을 보여준 것입니다. 다니엘서 5장에는 벨사살 왕이 전리품으로 가져온 성전 그릇들로 향연을 베푼 자리에서 돌연 벽면에 손가락이 나타나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란 글자를 쓰고 사라지는 초자연적인 현상이 그려집니다
경인감리교회 | 주일예배설교 | [다니엘 5장 22절~28절] 22 벨사살이여 왕은 그의 아들이 되어서 이것을 다 알고도 아직도 마음을 낮추지 아니하고 23 도리어 자신을 하늘의 주재보다 높이며 그의 성전 그릇을 왕 앞으로 가져다가 왕과 귀족들과 왕후들과 후궁들이 다 그것으로 술을 마시고 왕이 또. 성경을 보면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단 5장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에 대한 설명을 보면 메네와 데겔과 베레스에 대해서 해석하고 있는데 왜 우바르신은 해석하지 않고 베레스를 해석했는지 궁금하네요.
20200722_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수요예배) now playing. 20210822_여호와 그는 하나님이시로다(찬양예배) 20210822_한 소망 안에서(주일예배) 20210818_가까웠느니라(수요예배) 20210815_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찬양예배) 20210815_교회로 말미암아(주일예배 해석한 글자는『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었고 그 뜻은 이러했다. 메네는 이미 끝났다는 뜻이요, 데겔은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하다는 뜻이며, 우바르신은 왕국이 두 나라로 나뉠 것이라는 의미였다 벨사살 왕의 연회장 맞은편 석회벽에 손가락이 나타나 쓴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25절)이었습니다. 아무도 읽지 못하고 아무도 해석하지 못한 그 수수께끼같은 글씨를 다니엘이 판독하고 왕에게 명쾌하게 해석해줬습니다. <왕이 얼굴 빛이 변하고 번민하여 넓적다리 마디가 녹는 듯하고. 연회에서 벽에 나타난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글자는 그가 세셨으며, 그가 저울에 달으셨고, 나누셨다란 의미입니다. 벨사살이 바벨론의 왕이 된 것은 그 아버지 느부갓네살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하나님의 저울에 달아보고 세어보니 모자라서 바벨론 대제국이 멸망하여 다른 나라에 주어진다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개인이나 가정이나 교회나 국가를 저울에 달아보시고 세어보시다가 표준에 미달하면 촛대를 옮겨버리고 없애버리겠다는 말씀입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본문:다니엘 5장 느부갓네살이 죽고 그의 손자 벨사살이 왕이 되었어요. 이 벨사살왕은 어려서부터 할아버지와 다니엘의 관한 얘기를 듣고 알고 있었지만 그 하나님을 믿고 따르지 않고 자신이 살고 싶은 데로 살았어요 25.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26. 그 글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27. 데겔은 왕을 저울에 달아 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함이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mene, mene, tekel, uparsin)아람어인데 '세었다, 세었다, 달아보았다, 나누었다'라는 뜻이다. 성경 다니엘서에 기록된 말씀이다. 바벨론의 마지막 왕 '벨사살'이 궁중 연회를 즐기던 중 벽에 나타난 사람의 손가락이 아람어 글씨로 기록한 내용이다.(다니엘서 5:25 반면에 긴스버그는 이것을 '메네, 데겔, 우바르신'의 세 단어로 읽어, 이것은 신바빌로니아의 유명한 세 왕, 곧 느부갓네살, 나보니두스, 벨사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H.L. Ginsberg, Studies in Daniel, 24~26쪽). 3. 결론: 다니엘에 대한 포상과 벨사살의 죽음 (29~31절
Posted by tnb4word October 17, 2018 May 21, 2021 Posted in 성령의 법 시리즈, 성경, 숫자 시리즈, 언약과 계명, 예수님 시리즈, 요한복음, 율법 Tags: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눅 10:18, 단 5:25, 두번, 땅에 쓰신 글, 롬 6:23, 마 5:18, 마음에 음욕을 품은 자마다 간음한 것이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모세의 십계명 돌판. 메네 메네 데겔 달리다쿰 공의로운 평가에 부족함이 드러난 결과 다니엘 5:24-6:2 기록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단5:25)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1.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단5:25)은 예수님이 사용하셨던 언어와 같은.. 곧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단 5:25) 그 손은 사라졌지만 공포의 네 마디 글씨는 남았습니다. 사람들은 숨을 죽이고 다니엘이 그 뜻을 풀이해 주기만을 기다렸습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왕을 저울에 달아 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함이요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대와 바사.
2020.11.28(토) 큐티: 다니엘 5:24-6:2 <묵상하기> 벨사살 왕과 귀족들은 석회벽에 쓰여진 글자를 다니엘의 음성을 통해 비로서 듣게 된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그 글자는 발음조차 신비롭.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 창조와 하나님의 아름다움의 회복을 위하여.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 창조와 하나님의 아름다움의 회복을 위하여생태신학과생태영성창조와하나님의김도훈 지음국내서 단행본목차 서문 = 9 제1장 서론 1 날씨는 분별할 줄 알면서 시대의. 서울 종로구 중앙성결교회(담임 한기채 목사)에서는 31일 기성 총회장인 한기채 목사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다니엘 5:17-24)'라는 주제로 1-3부 예배에서 설교한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조회 : 470; 2020.06.28 오후 12:09; 성경말씀 : 단5:17-28; 설교자 : 최백기 목사; 설교일 : 2020-06-2
이때 왕 앞에 손가락이 나타나 벽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란 글자를 씁니다. 하나님의 사람 다니엘이 해석하니 '너를 하나님의 저울에 달아 보니 모자란 인물로 네 시한은 다 끝났다 다니엘서 5장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014. 6. 2. 16:22 다니엘서를 공부하며/JY: Reflection paper. 다니엘서 5장 . 느부갓네살 왕의 아들, 벨사살왕은 자기 생애의 마지막날 밤을 화려하게 시작하였다. 벨사살왕은 귀족 천명을 초대하였다 그러면서 아람어로 된 네 마디의 글자를 읽고 해석합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그 뜻은 세어 보았다. 세어 보았다. 달아보았다. 그러나 부족하다.. 이며, 다니엘의 해석은, 벨사살 왕의 사람됨과 삶의 모습을 평가하신 하나님께서, 아무리 세어. 서울서문교회 청년부 :: 12/9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다니앨 5:17-31. 17 다니엘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예물은 왕이 친히 가지시며 왕의 상급은 다른 사람에게 주옵소서 그럴지라도 내가 왕을 위하여 이 글을 읽으며 그 해석을 아뢰리이다 18 왕이여.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메네는 세어지다는 뜻이고, 데겔은 저울에 달아지다는 뜻이고, 우바르신은 나누어지다는 뜻입니다. 모두 수동태입니다. 세시고 저울에 달고 나누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갑자기 벽에 쓴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란 경고 한 마디로 그 웃음과 기쁨은 금방 슬픔으로 변했습니다. 왜냐하면 [메네]란 말은 세어보니 끝났구나란 뜻이고, [데겔]이란 말은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하구나란 뜻이고, [우바르신]이란 말은 이제 나라가 조각나게 될 것이란 뜻이었기. 즉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한마디로 세어 보고 달아보니 모자라서 치워버리겠다는 뜻이라고 해석해 주었습니다. 벨사살 왕의 앞에 나타난 이 하나님의 글자는 모든 인생에게 경고하는 벽보입니다 5장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바사 제국 초대 왕 고레스Ⅱ. 모든 통치 기간 <559-529 bc, 약 30년> 메데-바사(페르시아) 연합. 바사 제국 [메데] 다리오(62세)의 통치 <다리오 원년> (같은 시기) 메데-바사 연합. 총사령관 고레스Ⅱ 대왕(40세) 6장 사자굴의 다니엘 (약 84-89세 그 연회 도중에 한 손가락이 나타나서 벽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고 썼습니다. 이것을 다니엘은 하나님의 심판이 임한다는 의미로 풀이해 주었습니다. 결국 그날 밤 바사(페르시아)가 바벨론을 함락시켰으며, 벨사살 왕은 죽임을 당했습니다. 3. 다리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단어의 뜻만 보면 수가 헤아려지고 저울에 달렸고 나누어졌다는 것입니다. 그 위에 다니엘은 해석합니다. 수가 헤아려졌다는 것은 끝났다는 말이고 저울에 달렸다는 말은 무게의 가벼움이 드러났다는 것입니다 4. 하나님께서는 어리석은 벨사살에게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바벨론 제국의 연대가 계수됐다는 뜻으로, 바벨론이 곧 멸망할 것을 말씀하십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란 말이 세어보고 달아보아 모자라면 치워 버리겠다는 하늘의 경고였다. 하늘에서 벨사살 왕의 행적을 저울에 달아보니 온갖 악행과 우상숭배에 저울대가 기울어지니 이제 끝이 났다는 통보였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아람어 음독인데 '세어보고 세어보고 저울에 달아보매 부족하여 조각을 내다'는 뜻이다. '메네' (세어보신다. 지켜보신다. 판단하신다. 감찰하신다) 삶의 주관자 위임하신 분이 거두어 가신다 그리고 그 손은 벽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운명을 결정짓는 단어들을 썼읍니다. (다니엘 5:1, 5, 25) 그 일이 기원전 539년 10월 5일 밤에 있었읍니다. 그 단어들은 무시무시한 생각이 드는 충격을 주었읍니다 이 글을 다니엘은 해석하였는데 내용은, 메네: 하나님이 이미 벨사살 왕의 나라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바벨론 나라의 멸망), 데겔: 왕이 저울에 달려서 부족함이 보였다, 우바르신: 벨사살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대와 바사 사람에게 준바되었다 This is 180121 주일예배설교: 다니엘서 강해 (9) -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김한요 담임목사) by Bethel Church on Vimeo, the home for high quality videos and the people who love them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4-31) 24 절을 봅시다. 이러므로 그의 앞에서 이 손가락이 나와서 이 글을 기록하였나이다 이러므로 벨사살의 죄가 이렇게 크므로 하나님이 심판하고자 작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석화벽에 쓰인 글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세다, 세다, 저울에 달다, 그리고 나누어진다>라는 말만을 가지고는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만, 이렇게 다니엘이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대로 해석을 하니까 모든 수수깨끼가 풀리고 마는 것입니다 왕궁 촛대 맞은편 석회벽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는 글자가 나타나면 더 이상 기회는 없다. 해석이나 분석이 필요 없다. 그러니 벽에 글자가 나타나기 전에, 하나님이 주변의 느부갓네살의 모습을 통해 경고를 주실 때, 하나님께 돌이키고 교만을 꺾어야 한다
그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5) 이라고 말하였습니다. 메네는 끝났다는 의미요, 데겔은 달았다는 의미이고 우바라신은 나누다라는 의미입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021년 1월 30일 주일 오전 설교 성경읽기 : 단 5:1-31 설교본문 : 단 5:24,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낙원에서의 아담의 타락 이후 피조 세상은 자기 백성을 찾으시고 모으시는 구원의 하나님과 사단, 하나님 나라와 세상.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이 낯선 글자의 뜻을 풀 수 있는 사람은 다니엘 한 사람밖에 없었다. 다니엘은 이 글자를 해독한 덕택에 바벨론제국 제3인자의 자리에 올라앉게 되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끝났다. 끝났다. 당신의 시대는 끝났다. 바라기는. 오늘 하루. 우리가 주님의 높으심을 자랑하며.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자랑하고. 증언하는. 하루가 되길 소원한다. 그는 흥하여야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는 그러기에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직역하면 숫자를 세고, 또 숫자를 세고, 무게를 달아보니 나뉘어졌다 는 뜻이다. 다니엘의 이 글에 대해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는 뜻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 되기 전에 회개해야 한다. 즉 찍혀서 불에 들어가기 전에 우리의 죄를 뉘우쳐야 한다. 우리가 회개만 하면 우리의 죄가 아무리 주홍빛처럼 붉다 할지라도 흰 눈보다 더 희게 씻어주신다는 것이다 '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하디는 글귀가 마음에 새겨진 이유를 알아차렸습니다. 하나님! 저의 영적 상태가 벨사살 왕과 다름이 없다는 말씀이시군요. 하나님의 저울로 달아보아 왕이 자격 미달이었듯이, 저 역시 함량 미달이라는 말씀이시군요 12.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 단 5:24-31 13. 다리오 현상 | 단 6:1-9 14. 다니엘의 기도 | 단 6:10-16 15. 기도의 능력 | 단 6:19-23 16. 두 개의 환상 | 단 7:9-14 17. 그러면 어떻게 살 것인가 | 단 8:1-14 18. 자기가 원하는 대로 | 단 8:1-4 19. 주권 앞에서 기도의 의미 | 단 9:1-6, 17-19 20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 단 5:24-31 13. 다리오 현상 | 단 6:1-9 14. 다니엘의 기도 | 단 6:10-16 15. 기도의 능력 | 단 6:19-23 16. 두 개의 환상 | 단 7:9-14 17. 그러면 어떻게 살 것인가 | 단 8:1-14 18. 자기가 원하는 대로 | 단 8:1-4 19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갈대아말로서 바빌론 왕 벨사살이 경건치 않은 연회를 베풀 때에 손이 나타나 벽에 기록한 글이며 그 뜻은 하나님께서 그의 왕국을 세셔서 저울에 달아 보니 부족하므로 그것을 나누신다.는 뜻이다(단5:1-31)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단 5:24-31) 약관 동의. 팟티(podty)서비스 이용약관과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내용이 변경됨에 따라 해당 약관들에 대 * 바빌론의 마지막 황제 벨사살이 하나님의 평가에서는 형편이 없었다. 사람들에게는 큰 왕으로 추앙받고 있었으나 하나님의 저울에서는 함량미달이었다. 그가 주최했던 잔치에서 하나님이 벽에 쓰신 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은 그의 참 모습을 보여준다 그 날 밤에 (다니엘 5:1-31) 본문의 배경은 벨사살 왕 때입니다. 벨사살의 부친이 느부갓네살이라고 나와 있지만(단 5:2,11,18), 직접적인 아버지라는 말이 아닙니다. 바벨론의 영광과 권세를 대표하는 선조라는 의미입니다. 사실 벨사살은 느부갓네살의 외손자이자 바벨론의 마지막 왕입니다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25절) '메네'는 연대, 세대를 계산한다. 하나님께서 바벨론의 년수를 다 계수하셔서 끝이 났다는 의미다. '데겔'은 '무게가 측량되고, 저울질 받았다'로, 공평한 하나님 저울로 달아보니 부족하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