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문화비축기지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테마관광 추천! 마포 문화관

문화비축기지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만나는 넓은 광장입니다. 원리 임시 주차장이었던 곳으로 주말이면 시민 시장 , 축제 , 공연 등이 열립니다 . T1 파빌리온 T1 파빌리온,T2 공연장,T2 야외무대,T3 탱크원형,T4 복합문화공간,T5 이야기관,T6 커뮤니티센터,가압펌프장,마포문화비축기지,문화비축기지,상암소셜박스,설비동,소화액저장실,에코 클라우드,에코라운지,옥상마루.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문화비축기지」는.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11. 17:12. 안녕하세요 ! 마홍단 성민입니다!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문화공원이 된 '문화 비축기지'를 다녀왔습니다 !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이날 날씨가 너무 좋아서 센터에서 문화비축기지 까지 걸어갔습니다 ! !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15~20분 정도 걸으니까 도착했습니다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에서 '봄을 기다리는 피아노 소나타'를 만나보세요 t1 유리 파빌리온 안에서 봄의 소리를 들으며.. 제법 따듯해진 햇살을 받으며 피아노를 치다보면.. 봄이 한뼘 더 가까이 다가온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꺼에요. 2.2(금)~2.28(수)까지..

문화비축기지 t1 유리돔이 인상적인 파빌리온에서 직접 확인해보세요. ※ 문의 : 문화시설운영팀 02-376-841 석유와 건설 중심의 산업화 시대를 대표하던 공간이 친환경과 재생, 문화가 중심이 되는 생태문화공원으로 거듭난다. 2020-11-27 19:45 입력 '문화비축기지'는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매봉산 아래 자리하고 있는 도시문화공원이다 이번 주말,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 t2야외공연장, 실내공연장에서 감미로운 뮤지션들의 음악을 비축합니다!! 그 음악은 바로! 목소리와 가사가 좋은 뮤지션의 공연이 가득한 페스티벌 '스마일러브위크엔드'예요!! 스마일러브위크엔드 페스티벌에는 탱크 가득 귀 호강.. 문화비축기지. 1973년 석유파동으로 76~78년도에 5개의 탱크를 건설한 서울시, 대략 6,900만 리터라는 석유를 보관했었던 마포석유비축기지였었다. 그러나 2002년 월드컵때에 안전상의 문제로 폐쇄됐고 10년동안 구체적인 사용방안을 찾지못한체 방치됐다. 도시재생. 상암 월드컵 경기장 인근에 위치한 문화비축기지는 2017년 9월 1일 개관한 시설입니다. 원래는 유사시에 서울 시민이 한 달 가량 소비할 석유를 비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지입니다.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폐쇄된 후 거대한 천덕꾸러기로 방치되다가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계기로 지금의 모습으로 리모델링되었습니다. 사실 문화비축기지는 넓은 마당, 6개의 탱크.

입력 2018.09.23 15:49. ②문화비축기지. '100억 달러 수출'이 전 국민의 지상과제이던 시절인 1973년 중동전쟁이 터졌다. 그 여파로 일년만에 석유 값이 4배로 폭등했다. 청와대는 비상회의를 열어, 석유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석유 비축 탱크 매설을 결정했다. 1978년 조성이 마무리된 석유비축기지는 보안상 통제시설로 하기로 하고 그 존재 자체를 국민들에게 알리지 않기로. 2019년 문화비축기지 장소사용 신청 안내. 1. 접수대상. 대상공간 : 문화비축기지 문화공원 및 문화마당. 적용 행사 범위. - 대형행사 : 문화비축기지 내 문화공원 또는 문화마당 전체 사용. - 중형행사 : 문화비축기지 내 두 개 이상 공간 또는 문화마당 내 일부 사용. - 소형행사 : 문화비축기지 내 한 개 공간 사용. - 촬 영 : 방송, 영화, 영상물제작, 사진촬영 등 t1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블로그 [t1 파빌리온]은 석유비축기지 시절 휘발유를 비축했던 탱크를 해체한 후 남은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하여 유리온실로 만든 공간이다. 앞쪽의 통로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활동을 할 수 있어서 '문화 통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문화비축기지 : 네이버 포스트. [건축]석유에서 문화로~ 잘생겼다! 문화비축기지. 1970년도에 만든 서울역 고가도로를 공중정원으로 바꾼 '서울로 7017', 1967년에 지은 국내 최초주상복합아파트를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든 '다시-세운 프로젝트'. 이처럼 올해는.

문화비축기지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

문화비축기지 - 명소 : Visit Seoul - 서울시 공식 관광정보 웹사이트

2021 문화비축기지 공원여가 '생태+생활문화프로그램' 7월 프로그램 안내 '생태+생활문화 프로그램'은 시민들의 생태적·창의적 일상생활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기획한 문화비축기지의 공원 프로그램으로, 2021년 올해 자연과 문화예술이 조화된 1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서울문화재단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서커스제작지원 월간서커스 신작발표 버스를 기다리며 - 월간 서커스 - ⏰ 6월 25일(금). 26일(토). 저녁 8시 문화비축기지 파빌리온 t1 무료 사전접수(회차당 40명 선착순 마감) ※ 접수 마감되었습니다 [서울문화투데이 왕지수 기자] 서울시 문화비축기지는 코로나 시대에 맞춰 시민들의 지친 심신을 위로하고 희망을 전할 수 있는 기획전 '내가 쏜 위성'을 오는 7월 25일(일)까지 약 6개월간 t5이야기관과 미디어영상관에서 개최한다. '내가 쏜 위성' 展은 석유파동 이후 1978년 석유비축기지가.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 :다목적 커뮤니케이션 공간 t2. 공연장 : 상부는 야외공연장. 하부는 실내공연장 t3. 탱크원형 : 석유비축기지 당시를 보존한 학습공간 t4. 복합문화공간 : 기존 탱크의 독특한 형태를 그대로 살린 기획전시 공간 t5

문화비축기지 파빌리

  1. 서울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맞은편에는 매봉산 자락에 독특한 문화시설이 있다. 원래는 1973년 석유파동 이..
  2. 2020년 문화비축기지 장소사용(정기대관) 접수 대상공간 : 문화비축기지 문화공원 및 문화마당 사용기간 :'20.1.1. - '20.12.31.(※월요일 휴무
  3.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옛 석유비축기지 자리에 있는 서울의 문화공간. 본래 1970년대 박정희 정부시절에 세워져 비밀리에 관리되던 기지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었으며 2000년까지 석유를 비밀리에 비축하던 옛 마포석유기지가 전신이다. 2002 한일월드컵 유치가 결정되고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4.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Glass Pavilion) 석유비축기지 시절에 휘발유를 보관했던 탱크. 내부 공간을 볼 수 없는 것이 아쉬웠다.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Glass Pavilion) 방문 당시에 입장은 불가했었던 것 같았다. 문화비축기지, T3 탱크원형(Sustained Oil Tank
  5. 문화비축기지,서울: 995건 중에서 347위를 차지한 관광명소인 문화비축기지에 관한 8 건의 리뷰와 29 건의 사진을 체크하세요. 파빌리온, 야드, 문화 단지, 스토리 홀 및 커뮤니티 센터와 같은 흥미로운 공간으로 변형 된 6 개의 저수지 탱크가 있습니다
  6.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 공간 가이드. t1 파빌리온 좁고 긴 입구를 따라 들어가면, 마치 온실 같은 유리 풍경이 펼쳐진다. 투명한 유리로 벽체와 지붕을 만들어 매봉산 암벽과 그 틈에서 자라나는 식생을 유리벽 너머로 볼 수 있다

문화비축기지 입구 1급 보안시설에서 시민들의 공간으로 석유비축기지는 1973년 1차 석유파동 이후 비상시 원활한 석유 공급을 위해 서울시에서 건설한 유류 저장시설로 시민들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제한된 1급 보안시설이었다.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6,907만 리터의 석유가. 파빌리온 (t1) 모습 <사진제공=문화비축기지> 공연장·야외무대 두 번째 탱크인(T2) 공연장은 문화비축기지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사랑하는 공간이다 문화비축기지의 마지막 꼭지입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2020/03/24 - [분류 전체보기] - 문화비축기지 2/3 -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2/3 - 파빌리온 늦은 가을이었지만 꽃이 남아있던 문화비축기지를 다녀왔.

문화비축기지 2/3 - 파빌리온 - 오묘서

문화비축기지 주 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홈 피 :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 돌ㆍ철판ㆍ이끼까지 그대로'문화비축기지' 상암동 명소될까. 2017.08.26 08:01. - 탱크 안에서 서커스ㆍ전시, 밖에선 공연ㆍ장터. - 지열로 냉ㆍ난방 '친환경'도심재생의 '좋은 예'.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바닥의 돌계단도 그냥 돌이 아닙니다. 탱크. 문화비축기지 비축기지이야기관. 문화비축기지복합문화공간. 문화비축기지 탱크원형. 문화비축기지공연장. 문화비축기지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 oil tank culture park 공연장 T1 파빌리온(T1 GLASS PAVILION) 석유 탱크를 해체한 후 남은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하여 유리 구조물인 벽체와 지붕이 신설된 건축물로, 암반 지형과 건축물이 조화되어 극적인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문화비축기지 구경1 : 야외공연장(T2), 파빌리온(T1) - Egloo

문화비축기지 역사를 알 수 있어 해설사가 함께하는 시민투어는 t5에서 투어를 시작해서 t1으로 향하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곳의 의미를 처음부터 온전히 이해하고 공원을 즐기고 싶다면 T5부터 감상하는 걸 추천한다 마포 문화비축기지, 41년간 통제된 1급 보안시설이었던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탈바꿈 문화비축기지 배치도 [서울시제공=연합뉴스] 5개 석유탱크 가운데 1번 탱크는 유리로 만든 다목적 파빌리온 (554㎡)으로 꾸미고, 2번 탱크는 공연장 (2천579㎡)으로 조성한다. 3번 탱크 (1천46㎡)는 원형을 보존했고, 4·5번 탱크는 각각 기획전시장 (984㎡)과 상설전시장. 석유 탱크에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곳이 있다. 서울 마포구 성산동 '문화비축기지'다. [연관기사] '1급 보안' 석유 기지, 문화공간으로 재탄생 이곳은 41년간 1급 보안시설로 지정돼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됐던 '석유비축기지'였다. 1973년 중동전쟁 이후 석유. 마포문화비축기지 개원식이 지난 14일 펼쳐졌습니다. 지난 41년 동안 일반인이 접근하거나 시설물을 사용할 수 없었던 공간이 드디어 시민의 곁으로 다가왔습니다. 서울 마포문화비축기지 정확히는 서울의 새로운.

문화비축기지 조성 및 운영과정은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는 구조로 짜여졌다. 붉은 파빌리온, 바람의 길 등 대지 미술작품과 조형물이 설치됐다. 건물 내부에는 실과 소금, 신사임당이 걷던 길 등 현대미술 작품이 전시됐다 문화비축기지 공간 재생은 원형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새로운 활용도를 만들어내는 데 주력했다. 5개 석유 탱크 중 1번, 2번 탱크만 해체하고 대부분 시설의 원형을 보존했고 각 공간의 특징을 드러내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문화비축기지 및 월드컵공원 일대. 새로운 공간에 대한 축원을 담아 문화비축기지에서 월드컵공원 일대까지 신명나는 풍물을 연주하는 길놀이 공연. 생생클래식. 10.14. 14:30~15:30. t0. 문화마당. 서울팝스오케스트라의 문화비축기지 개원 축하 공연 이번 전시는 창의적으로 공간을 재해석한 문화비축기지 여러 건물 중 . 가장 아름 다운 공간으로 꼽히는 파빌리온 t1에서 열리며, 어렵게만 느껴지던 회화, 조각, 설치 등의 현대미술을 가가이서 만나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서울문화재단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서커스제작지원 월간서커스 신작발표 버스를 기다리며 - 월간 서커스 - ⏰ 6월 25일(금). 26일(토). 저녁 8시 문화비축기지 파빌리온 t1 무료 사전접수(회차당 40명 선착순 마감) ※ 접수 마감되었습니다

석유에서 문화로! 역사를 포용한 도시재생 '마포 문화비축기지

  1. 문화비축기지 유리파빌리온 t1과 t6의 문화아카이브 등 아름다운 탱크공간에서 펼쳐지는 예술작품들은 입체적인 융복합 퍼포먼스로 더욱 기대가 크다
  2. 문화비축기지 전경 ⓒ서울시 상암 월드컵경기장 서측의 완만한 매봉산 자락에 자리한 1급 보안시설로 41년간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되었던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복합문화공간 '문화비축기지'로 변신을 마무리하고 9월 1일(금)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
  3. 서울시는 6월 17일 마포구 상암동과 성산동 일대에 14만㎡ 규모로 조성한 '문화비축기지'를 개방한다고 24일 밝혔다. 5개 석유탱크 가운데 1번 탱크는 유리로 만든 다목적 파빌리온(554㎡)으로 꾸미고, 2번 탱크는 공연장(2,579㎡)으로 조성한다
  4. 문화비축기지 구경2 : 오일탱크 (T3), 복합문화공간 (T4) 살고. T1과 T2를 구경하고 나와 옆으로 가면 언덕으로 올라가는 돌계단이 보인다. 완만한 언덕이라 본격 계단은 아니고, 돌을 일렬로 예쁘게 늘어놓았다. T3를 보러 가는 길이다

【서울=뉴시스】손대선 기자 = 다음달 말이면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40년만에 '문화비축기지'란 이름으로 재탄생한 서울시 문화비축기지가 문화예술계 창작자들의 작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는 '문화비축기지 아트랩 art lab' 장소지원 프로젝트를 오는 12. 2015년 12월 착공해서 2017년 8월 완공된 '문화비축기지'는 약 470억 원가량의 예산이 투입됐다. 축구장 22개와 맞먹는 규모(면적 14만22㎡)의 부지 가운데에 공연, 장터, 피크닉 같은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열린공간(문화마당, 35,212㎡)이 자리하고, 그 주변으로 6개의 탱크(t1~t6, 104,810㎡)가 둘러싸고 있는. 서울둘레길에 마포 문화비축기지 구간 신설. 석유저장시설 안에 꾸며진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커뮤니티센터에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이상훈 선임기자. 서울둘레길 코스에 서울 마포구의 명소인 문화비축기지가 추가됐다. 마포구는 최근 서울시와. 문화비축기지 유리파빌리온 t1과 t6의 문화아카이브 등 아름다운 탱크공간에서 펼쳐지는 예술작품들은 입체적인 융복합 퍼포먼스로 더욱 기대가 크다. <아트랩 art lab ; 공원 속 공연예술 프로젝트>는 그동안 현장에서 만날 수 없었던 서커스와.

끝으로 t0 문화마당(면적:35,212㎡)에 가면 이곳을 방문한 시민들이 휴식과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한 대형 광장을 조성했다. 월요일은 휴관으로 시설별 운영시간은 10:00~18:00이다. 일자별 프로그램은 문화비축기지 공지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문화비축기지. 3,593 likes · 27 talking about this · 5,673 were here.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는 6개의 탱크와 문화마당으로 이루어진 친환경복합문화공간입니다 테마관광. 2017년, 월드컵공원 인근에 오랜 시간 베일에 싸여있던 '마포석유비축기지'가 '문화비축기지'가 되어 시민들에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동안 마포석유비축기지는 1급 보안 시설로서,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된 공간이었습니다. 1973년, 우리. 문화비축기지 조성 및 운영과정은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는 구조로 짜여졌다. 붉은 파빌리온, 바람의 길 등 대지 미술작품과 조형물이 설치됐다 석유 대신 즐거움을 채워가는 문화비축기지. 한강의 기적, 급속도로 발전해온 대한민국의 산업화. 석유와 건설 등으로 대변하는 산업화의 상징물인 석유비축시설은 오래 전부터 수도권 어딘가에 있다는 것만 알려졌을 뿐 공공연한 비밀 중 하나로 치부되어 왔다.

오늘 둘러볼 문화공간은 문화비축기지이다. 기지하면 로봇이나 특공대가 출동할 것같은 명칭인데 그 앞에 문화와 비축이라 상상도 안되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화비축기지를 둘러보도록 하겠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9. 미래주택 2020 전시 참여, 문화비축기지 2017. 9. Conflux, 2017 UIA 서울세계건축대회 파빌리온 설치 2015. 1. 흩어지다, 수인선기념공원 2013. 5. Mood Map, 서울대 미술관 Data Curation전 초청 전시 2013. 2. Filament Mind, 테톤카운티 주립도서관 설치물 완공 2012. 8. Seat, 프리덤공원. [서울/스타트뉴스=박서일 기자] 서울시 문화비축기지는 문화예술계 창작자들의 작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는 '문화비축기지 아트랩 art lab' 장소지원 프로젝트를 오는 12월까지 총 24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문화비축기지 아트랩 art lab' 장소지원 프로젝트는 '전시'와 '원데이예술. 상암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 같죠..? 다른 드라마에서 봤던 공간 https://t.co/or0mDIQDJq. 13 Aug 202 문화비축기지는 1976∼1978년 설치된 마포 '석유비축기지'를 시민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조성한 것이다. 휘발유를 보관하던 탱크를 해체한 자리에 유리돔을 세워 문화 공간으로 꾸민 'T1유리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세부 설계 구성: 시설: 규모: 설계안: 1번 탱크(파빌리온) *해체 후 신축: 약 540㎡, 최대 120여명 수용 공연, 강의 등 다목적 공간 탱크를 해체한 후 남겨진 콘크리트옹벽을 이용해 유리구조물인 벽체와 지붕 신 문화비축기지는 마포구 상암동 옛 석유비축기지 자리에 있으며, 6개의 탱크와 문화마당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이다. 투어 코스는 문화비축기지 안내동에서 시작해 이야기관(T5), 복합문화공간(T4), 탱크원형(T3), 공연장(T2), 파빌리온(T1)을 지나 커뮤니티센터(T6)에서 끝난다

문화비축기지 - Daum 블로

문화비축기지 주변에 서울월드컵경기장과 하늘공원 등이 있다. 새로 지은 커뮤니티센터. 해체된 탱크의 철판을 재활용했다. 커뮤니티센터 앞 산책길. 9월 개장 이후 많은 관람객이 찾아오고 있다. t1 파빌리온 문화비축기지. 원래 1976년부터 1978년까지 건설된 5기의 석유 탱크가 있던 자리로, 2002년 FIFA 월드컵 이 상암동 경기장에서 유치됨에 따라 2000년 안전문제를 이유로 폐쇄되어서 유휴지로 있었다가, 2013년 서울특별시 시민 공모전에서 문화예술 공간으로.

석유 비축기지에서문화 비축기지로. #도시재생#문화공간#생태공원. 41년간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된 공간이었다. 1973년 석유파동으로 원유 공급에 큰 차질을 빚었던 정부는 서울에 석유를 비축할 공간을 만들었다. 5개의 탱크에 한 번에 보관할 수 있는 유류량은. 2021 생태문화축제 : 멀리에도 있지만 가까이에도 있다 문화비축기지 2021 생태문화축제 장애·여성·노동·시니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공연·워크숍·토론회, 기후 위기와 인간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미디어파사드·사운드아트 공연, 시민 사연 영상전 등 코로나 시대에 자연과.. 문화비축기지(文化備蓄基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옛 석유비축기지 자리에 만들어진 서울특별시 공립 문화공간이다.. 원래 1976년부터 1978년까지 건설된 5기의 석유 탱크가 있던 자리로, 2002년 fifa 월드컵이 상암동 경기장에서 유치됨에 따라 2000년 안전문제를 이유로 폐쇄되어서.

월드컵공원 - 평화의공원 하늘공원 /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 난지한강공원문화비축기지. [한국에너지신문] 1976년 설치된 이후 1급 보안시설로 시민들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총 14만㎡ 규모의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실내·외 공연장, 전시장, 공원 등을 갖춘 시민 문화시설로 변신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서울시는 지난해 말 '마포 석유비축기지 재생 및 공원화 사업'을.

외부 활동 』 문화비축기지 탐방 : 네이버 블로

마포 석유비축기지, 다음달 문화비축기지로 5개의 탱크 가운데 1번 탱크는 유리로 만든 다목적 파빌리온(약 554㎡), 2번 탱크는 공연장(약 2579㎡), 4번 탱크는 기획전시장(약 984㎡), 5번 탱크(약 890㎡) 등으로 재탄생 된다 '마포 문화비축기지' 서울 월드컵 경기장 일대에 석유를 보관하던 1급 보안시설이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난 1973년 1차 석유파동 이후 건립돼 시민들의 접근이 철저히 통제됐는데요. 2017년 9월, 문화와 예술이 숨 쉬는 마포 문화비축기지로 새롭게 탈바꿈했습니다 그룹 춤 in: 숲 8/20-21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 궁: 장녹수전 8/20-21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 박애리와 함께하는 국악&힙합 융복합 퓨전콘서트: 무브먼트 코리아3 8/20 금정문화회관 금빛누리홀 . 21. Sat 국립현대무용단: 힙합 HIP合 8/20-22 예술의전당 CJ 토월극 RT @ulwxspace: 상암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 같죠..? 다른 드라마에서 봤던 공간 https://t.co/or0mDIQDJq. 14 Aug 202

마포 석유비축기지, 41년 만에 문화기지로 변신 . 1976년 설치된 개발시대의 산업유산 '마포 석유비축기지'(마포구 성산동 산53-1 일대)가 41년 만에 종합 문화공원으로 변신하기 위한 밑그림을 확정하고 2017년 초 준공을 목표로 오는 10월 착공합니다 [서울문화투데이=이가온 기자]전통으로 공간의 새로운 감각을 깨우는 'The Art Spot 시리즈 문화공간 음악회'가 올해 첫 공연장으로 마포 당인리 문화비축기지를 찾는다.문체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오는 18일(목)부터 28일(일)까지 문화비축기지에서 전통음악 작곡가와 현대무용을 콜라보 한다. [한국문화신문 = 윤지영 기자 ] 1976년 설치된 개발시대의 산업유산 '마포 석유비축기지'(마포구 성산동 산53-1 일대)가 41년 만에 종합 문화공원으로 변신하기 위한 밑그림을 확정하고 오는 10월 착공한다. '17년 초 준공 목표다. 마포 석유비축기지는 지난 '74년 제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서울시에서. [서프라이즈뉴스] 서울시 문화비축기지는 문화예술계 창작자들의 작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는 '문화비축기지 아트랩 art lab' 장소지원 프로젝트를 오는 12월까지 총 24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문화비축기지 아트랩 art lab' 장소지원 프로젝트는 '전시'와 '원데이예술', '공연. '문화비축기지' 조성 대상지는 총 14만㎡ 규모로 유류저장탱크(10만1,510㎡) 주차장 부지(3만5,212㎡) 산책로(3,300㎡)로 구성된다. 특히, 주차장 부지는 초기 계획에서는 빠져있었지만 검토 끝에 기본설계 과정에서 설계안에 포함, 약 4만㎡가 확대됐다

문화비축기지 -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에서 '봄을 기다리는

archibear. prev. next. 마포구에 위치한 석유비축기지를 재생하여 새로운 문화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진행한 프로젝트. 과거 1973년 석유파동 당시, 민생 안정과 파동에 대한 대응을 위해 5개의 비축탱크를 건축한 것이 그 시작. 각각 탱크의 크기와 부피는 서로. 광장에서 정면을 바라보면 이곳 마포 문화비축기지>가 매봉산 자락에 둘러 싸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뒤로 상암동의 아파트들 이 보인다. 좀 더 둘러보면 중간중간에 6개의 커다란 원기 둥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이전에 유류를 저장하던 탱크들이다 마켓 사진전 장터에서 마켓까지 8/31(금), 9/1(토) 14:00 ~ 20:00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 ※ 본 전시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합니다. 거리예술마켓에 참여한 작품, 단체들과 마켓이 만났던 이들을 기억하는 사진전 [전시프로그램] 마켓 사진전 _장터에서 마켓까 메일보내기. 〈우리동네 공원여행 지도〉 ⓒ 문화비축기지. [휴먼에이드포스트] 서울시 문화비축기지는 봄철 공원 방문객들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안전하게 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가족과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먼저, 문화비축.

이게 진짜 버라이어티! 이번 주말은 문화비축기지

마포 석유비축기지, 41년만의 기지開문화 공간으로 이곳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오공모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최근 이 같은 도시 재생 사업이 이목을 끌고 있다.. 문화비축기지 t2 앞에서는 해외 초청작 '사탕의 숨결'(프랑스, 갈라피아 서커스) 리허설이 펼쳐지는 모습을 봤습니다. 악기로 라이브 연주를 하는 과정에서 차이니즈폴(Chinese pole) 서커스 기예를 펼치면서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해학적인 느낌의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아트인사이트 - [Opinion] 석유에서 문화로 - 문화비축기지 [문화

문화비축기지 t4 복합문화공간 문화비축기지 t1 파빌리온 엘리펀트 스페이스 5.25 (금) 14:00-16:00 전자피크닉 (우당탕메이커스 문화비축기지. Gefällt 3.592 Mal · 38 Personen sprechen darüber · 5.545 waren hier.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는 6개의 탱크와 문화마당으로 이루어진 친환경복합문화공간입니다 Art and culture collide in these six complexes that were once garbage incinerators, coal mines, and more. After becoming dilapidated and unused, these crazy cool sites were renewed and regenerated to become spaces for community events and artistic appreciation. From bunkers that once housed war tan

문화비축기지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로운 탈바꿈, 문화비축기지석유비축기지 대신 문화비축기지 (2019